아민전이효소를 통한 탈라세믹화 반응의 여러 가지 부반응들을 공정제어 및 단백질공학 기법을 통해 억제하고, 이를 대장균세포에 도입하여 대사경로를 재설계함으로써 포도당을 전구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, 기존 방법보다 진일보한 아민 생산의 생물공정을 최초로 확립하였다.
이러한 뛰어난 연구 내용을 인정받아,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ACS Catalysis (2018 IF=12.221)의 2019년 8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다. (Link 1)
이번 연구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, 연세소식에 2019년 9월 3일 기사를 실었다. (Link 2, 2019-09-03)
세계적 학술지 ‘ACS 캐털리시스’에 연구 결과 게재
신종식 교수(생명공학과) 연구팀이 컴퓨터 모델링을 이용한 트랜스아미네이스의 반응경로 재설계기법을 고안함으로써 다양한 의약품 중 간체로 쓰이는 광학활성아민의 제조에 최적화된 효소변이체를 개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.
이번 연구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, 연세소식에 2017년 7월 7일 기사를 실었다. (Link, 2017-07-07)
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의 신종식 교수, 박을수 박사과정생이 생촉매를 이용한 탈라세믹화를 통해 광학 활성 아미노산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. 이번 연구결과는 응용화학 분야 전체 71개 저널 중 journal ranking 2위(2013년 기준)의 권위지인 Advanced Synthesis & Catalysis 저널에 2014년 7월 1일 온라인 게재가 되었으며 [논문제목 : Deracemization of Amino Acids by Coupling Transaminases of Opposite Stereoselectivity] 연구결과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11월호 인쇄본의 앞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.
신종식 교수 연구진은 이번 기술에 새로운 생촉매 및 개량된 생촉매를 적용하여 향후 보다 다양한 아미노산을 고순도와 고효율로써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. 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 차세대 바이오매스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.
(2014-10-01, 연세소식 : https://www.yonsei.ac.kr/ocx/news.jsp?mode=view&ar_seq=20420&sr_volume=566 )